본문 바로가기

지식/관리회계

품질비용 - Cost of quality

품질비용 (Cost of quality)

관리회계기법의 또 다른 방법인 품질비용에 대해 알아가기 전

품질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품질 (Quality)

특정 상품의 품질이 좋다 함은 해당 상품이 고객의 기대치와 동등하거나 기대치를 뛰어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상태를 말한다

- Hansen & Mowen (2003, p. 441)


품질비용은 이렇게 정의한다

품질비용 (Cost of quality)

품질비용은 특정 상품의 불온전한 상태나 불량이 발견되어 추가적으로 사용 되는 비용

- ibid. (p. 442)



품질비용은 재료비와 인건비, 장비사용로 등을 제외한 제품의 불량 감소를 위한 관리 비용을 기간원가로 계산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품질관리와 경제적인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관리회계 기법으로 평가된다

즉 제대로 만들지 않았을 경우에 나중에 추가적으로 들어갈 비용을 사전에 예방한다는 개념으로

'미연에 방지하는 비용<사후수리비용' 이런 결과를 가져오지 않게 만드는 기법








품질비용에 해당하는 비용은 다섯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모두 자동차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Prevention (예방비용)

자동차에 들어가는 특수금속을 납품하는 거래처에 대한 인증과 같이 향후 결함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용이다

(selecting control equipment, designing processes and products 가 다른 예)


Appraisal (평가비용)

자동차 제품 검사에 들어가는 비용이고 판매 전 자동차의 시험성능 단계에 들어가는 비용이 평가비용으로 분류된다


Failure (실패비용)

Internal failure (내부실패비용)

자동차 생산 중 나온 산업 폐기물이나 재작업, 반품으로 인해 생긴 생산 단계 중 생긴 비용을 내부실패비용이라한다

(treating and disposing of toxic waste 도 예 중 하나이며 found an appraisal but customer havn't seen it)


External failure (외부실패비용)

외부실패비용이 가장 치명적인 비용인데 낮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에게 전달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이게 바로 고객이 결함있는 제품을 받았을 시 나오는 대표적인 추가 비용이다

새 자동차를 고객에게 넘겼으나 며칠 가지 않아 엔진 결함으로 차가 고철이 되어 기업은 차를 바꿔주거나 온전한 상태로 수리를 해야 한다


Visible (유형비용)

유형비용은 위 실패비용이랑 비슷한데 제품에 뚜렷하게 보이는 결함 (스크래치나 페인트 벗겨짐) 이 있을 때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다


Invisible (무형비용)

무형비용은 부품 재고가 도둑맞는 것 혹은 내부 생산 단계가 효율적이지 못해 추가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비용을 모두 통틀어 말한다



품질비용은 적용 할 때 하나의 정해진 기준이 없는데

기업이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일 수도 있고 야채를 공급하는 큰 농장일 수도 있어 품질에 대한 기준이 모두 다르기 때문

그래서 꼭 위의 다섯가지 분류는 사용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Shah & FitzRoy 1998



품질비용의 단점은 ABC 와 비슷한데 (활동원가기준이랑 비슷함)

1. 대부분의 품질비용 관리기법을 도입한 회사들은 경영진의 형편없는 서포트를 받을 수 있으며 (국내 기업은 최상품보다는 빨리 빨리 팔아 돈을 만들기 원하기 때문)

2. 누가 이 업무를 맡아야 하는지 구분되어있지 않는다

     실제로 기업 내에서 품질검사를 담당하는 부서는 자기네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며

     관리회계사에게 가서 물어보면 품질검사팀에게 가야지 왜 우리를 찾아오냐고 한다

3. 품질관리만을 담당 할 수 있는 전문가가 전세계적으로 굉장히 찾아보기 힘들다




Suggestion of ex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