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뉴질랜드 회계감사 (ISA NZ)

부정 트라이앵글 - Fraud triangle



회계자료에 대한 개인의 사심이나 사기 범죄에 사용 될 수 있는 조건을 보여주는 구도는 Cressey 가 도안해 낸 fraud triangle 이라 한다



Fraud triangle (부정 트라이앵글) 은 세가지 요소로 세분화되는데

  1. Opportunity (기회)
  2. Incentive (이득)
  3. Rationalisation (합리화)



Opportunity (기회)

사기행위를 저지를 기회가 찾아오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 심각한 부정 트라이앵글이 적용됬음을 고려해야 한다

  • Weak or non-existent internal controls
    약한 내부통제 혹은 내부통제가 없는 환경

  • Complex or unstable organisational structure
    기업 체제구조가 굉장히 불안정하거나 복잡한 경우 (롯데의 기업구조와 같은 예 eg. 광윤사가 한국 롯데와 일본 롯데를 소유하고 있으며 등등의 이슈)

  • Ineffective monitoring of management, either because board of directors is not effective, or management is dominant
    기업 이사회가 아예 무쓸모하거나 이사회의 영향력이 너무 큰 경우

  • Significant accounting estimates made by management
    무형자산이나 영업권 (goodwill) 의 회계처리기준 (accounting estimate) 이 해당 분야에 박식한 제 3자가 바라보는 시점에서 심각하게 합리적이지 못 할 때

  • Significant related party transactions
    연계거래 (related party transactions) eg. 가족 혹은 친분이 높은 3자와의 거래가 굉장히 빈번하거나 기업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 Industry dominance, including ability to dictate terms to suppliers or customers
    점유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방대한 경우 (eg. 전국의 탄광 소유권을 혼자 점유하고 있거나 시장을 독점하고 있을 경우)

  • Simple transactions made complex through disjointed recording process
    단순한 거래내역이나 단순한 계정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차례 걸쳐 계정이 작성되거나 하나의 거래가 굉장히 많은 거래로 나뉘어 기록되어있는 경우

  • Complex or difficult to understand transactions
    거래를 보고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기록일 경우



Incentives or pressures (이득이나 압력)

아래와 같이 이득을 보거나 압박을 받는 상태라면 부정 트라이앵글이 적용됬음을 고려한다

  • Management compensation schemes
    경영진의 보상제도 (보너스나 추가수당)

  • Other financial pressures for either improved earnings or an improved balance sheet
    상부 혹은 내부의 향상된 제무재표에 대한 압박이 주어진 경우

  • Personal factors, including the personal need for assets
    굉장히 진귀하거나 값진 물건을 개인의 소유로 만들고 싶은 마음

  • Debt covenants
    기업 혹은 개인의 부채가 상당할 경우

  • Personal wealth tied to either financial results or survival of the company
    개인의 부가 기업의 성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경우



Rationalising the fraud (범죄와 사기 행위를 합리화 시킨다)

  • This is a one-time thing to get us through the current crisis and survive until things get better
    이번 순간이 지나면 다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합리화 시킬 수 있다

  • Everybody cheats on the financial statements a little; we are just playing the same game
    사회의 많은 이들이 이러한 단계를 가진다고 생각해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 We will be in violation of all of our debt covenants unless we find a way to get this debt off the financial statements
    다른 부채와 또 다른 부채를 막기 위해 합리적인 행동이라 생각 할 수 있다 (eg. 부채 돌려막기, 급한 불 부터 끄는 것이 맞다고 생각 하는 것)

  • We need a higher stock price to acquire company XYZ, or to keep our employees through stock options
    더 높은 주식 발행을 하고싶거나 현재 주식 가치의 향상을 기대할 때

  • The company "owes me"
    회사가 나에게 빚졌다고 생각하는 경우



이러한 범죄행위를 대비하기 위해 회계감사가 필요한 것인데

20세기 들어서 회계감사의 추세가 바뀌게 되었다


1900년대까지 회계감사는 사기와 범죄행위를 주로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회계감사의 중점은 사기행위를 적발해내는 것보다는 주어진 재무제표에 대한 진실성을 보증해주는 것으로 90년대에 비하면 회계감사가 재무제표 내 사기행위를 적발하지 못해 고소당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회계감사의 본질이 due care (성실의무) 와 감사의 결과로 인해 기업에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고 미리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국제회계감사기준 ISA 240 에 나와있기 때문에 감사인이 사기행위를 적발해내지 못함은 여전히 감사인의 잘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