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뉴질랜드 회계감사 (ISA NZ)

재무감사와 법회계학의 차이 - Differences between financial audit and forensic accounting

회계감사와 법회계학의 차이 - Differences between auditing and forensic accounting


감사인의 책무에 대한 문제는 항상 빈번하게 이슈가 되고있다

어디까지 개입을 하는지, 어디까지 책임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ISA(NZ) 240 Auditor's responsibility 에 따르면

감사인은 감사 대상의 재무제표 전체에서 사기행위와 단순오류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중요 왜곡표시 (material misstatement) 를 발견해내 합리적인 보증 (reasonable assurance) 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의무로 한다


감사인은 가짜 거래내역이나 사기가 의심되는 거래 내역들을 발견해내야 하는 의무가 있지만 감사기준에 따르면 'reasonable assurance' 합리적인 보증을 제공한다고 기재해 놓았다

이는 perfect assurance 가 아닌 것을 분명하게 알아야 하는데

이는 왜냐하면 감사인이 모든 절차를 따르며 올바르게 감사 계획을 수립하고 (audit planning) 감사 수속을 밟더라도 (audit procedures) 피할 수 없는 위험이 (unavoidable risks) 종종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 위험은 표본추출의 고유위험의 제한성 때문이다 (inherent limitation caused by sampling falsification)


현대 사회에 들어 감사의 중점은 사기행위와 가짜 거래 등을 발견해내는 것에서 특정 재무제표의 진실과 공정을 보증해주는 것으로 바뀌었는데

감사 서비스가 기업 내 수상한 거래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게 되었으므로 법회계학이라는 것이 생겨나게 되었다


오딧과 법회계학의 구분점은 아래와 같다


 

Auditing (오딧) 

Forensic accounting (법회계학) 

 Focus (중점)

재무제표의 공정성을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둠 

사기 (가짜) 혹은 사기 (가짜) 가 의심되는 내역을 발굴해내는 것에 중점을 둠 

 Approach (접근법)

중요성 (materiality) 에 기반을 둔 표본추출 (sampling), 분석적검토 (analyticalreview) 를 통한 접근 방법이 주

사내 관련 인원을 인터뷰 하거나 타겟 파일 전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접근함 

 Scope (목적)

재무제표의 감사를 하는 것이 목적임 

기업 내의 재무 관련 사기 행위를 발견해내는 것이 목적임 

 End product (결과물)

의견을 기반으로 하는 재무제표의 감사 보고서 

증거자료 

 Skills (요구하는 테크닉)

객관성과 표본추출 능력, 증거수집 능력, 검토와 연구 능력이 필요하며 회계감사의 지식과 회계학 지식이 필요함 

인터뷰 스킬과 그릇됨을 재구성하는 스킬이필요함 




끊임없이 겅부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