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뉴질랜드 회계감사 (ISA NZ)

회계 감사의 이론들 - Audit theories



근래 들어 금융사기가 급증함에 따라 회계감사는 컴퓨터 오딧과 각종 이론들로 끊임없이 발전해왔다


감사의 대표적인 이론을 나열한다


Traditional view (neo-classical economies) / 신고전적 이론

- 기업의 경영진은 기업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가정

- 오딧은 필요한 시장에 따라 결정 (투자자들을 위한 것)

- 감사인은 감사보고서를 필요로해 감사 비용을 지불하는 투자자들에게 일종의 보험을 제공한다는 가정

- 그렇기때문에 오딧은 해당 재무적 정보에 향상된 가치를 부여

- 오딧에 관한 규율과 법령은 재무적 정보에 유연성과 접근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는 가정


Private interest theory (Agency theory) / 대리인 이론

- 기업의 경영진은 그들의 사적인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는 가정

- 오딧은 표면적으로 행해야하는 명목상의 정보 (감사비용은 추가적 비용이라고 생각함)

- 그렇기 때문에 감사인은 대리인들의 감시인, 파수꾼, 경찰의 역할을 한다는 주장

- 그리하여 오딧은 해당 재무적 정보에 향상된 가치를 부여

- 경영진은 표면적으로라도 오딧을 진행해야지만 그들의 이익을 채울 수 있다는 것을 알기때문에 오딧 의무에 대한 법령과 규율은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경영진은 그들의 이익 창출에 오딧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오딧을 진행할 것이기 때문)



Critical theories (self-interest) / 비판 이론

- 오딧은 오로지 개인의 이익을 위해서만 존재하는 일종의 보험이라고 가정

- 경영진의 위선적 행동이 오딧의 표면적 결과물에만 의지하여 좋지 않은 일로 최상의 성적을 냈더라도 좋은 일을 했다고 둔갑 할 수 있음

- 그렇기 때문에 감사에 관한 아주 엄격한 법령이 필요하고 감사인들은 그 위선을 막기 위해 항상 최고의 전문가적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가정



Public interest theory / 공익 이론

- 사회 활동의 중점은 조직, 기업체와 사회의 균등함을 맞추기 위함이라고 생각함

- 그래서 감사인은 공공의 이익에 대한 파수꾼 역할을 맡음

- 오딧은 사회의 공익을 위한 것임으로 오딧과 규율은 굉장히 중요하다는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