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사업단위는 거의 모든 기업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작은 자영업은 제외) 사업의 분야가 확장되고 분야 점유율이 확장됨에 따라 독립적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재정을 집행할 수 있는 독립적 단위의 필요성으로 인해 생겨나게되는 사업의 단위이다
전략사업단위의 구조
각 사업 분야에서 개별 목표와 비전을 세운다는 점이 이익의 목표만을 주제로 하는 사업부제 (divisionalisation) 와는 다르다
사업부제 (divisionalisation) 는 기업의 전체 미션과 비전 아래 재량권만을 부여받지만 전략사업단위는 해당 사업분야의 미션과 비전 역시 결정할 수 있는 단위이다
전략사업단위는 GE 사가 70년대 최초로 도입한 전략인데 GE 사의 전략사업단위는 무려 49개에 달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의료기기업체 Lilly 의 Guidant corporation 이라 할 수 있다
Lilly 사의 Guidant corporation 아래 CRM 사업부, VI 사업부 그리고 MIS 사업부를 따로 두게 된다
이들 모두 자신의 경영진을 따로 가지고 있었으며 일관된 Guidant 사의 비전 아래 자신들의 결정권과 재량권이 각 경영진에게 주어진다
의류업체의 예로 전략사업단위로 아웃도어, 캐주얼, 세미정장 그리고 아동복과 같은 여러 전략사업단위를 둔 구조가 태반이다
'지식 > 관리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전략 2 - 보스톤 컨설팅 전략 (Business stretagy two - Boston Consulting strategy)) (0) | 2019.12.20 |
---|---|
사업전략 1 (Business strategy one) (0) | 2019.12.20 |
기업전략 - 다각화전략, 철수전략, 합병전략 (Corporate strategy - Diversification, divestment and integration) (0) | 2019.12.19 |
국제화전략과 협력전략 (International strategy and cooperative strategy) (0) | 2019.12.18 |
민츠버그의 전략적 시각 (Mintzberg's view of strategy) (0) | 2019.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