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관리회계

사업전략 3 - 포터의 전략 (Business strategy 3 - Porter's position)

사업전략

사업전략은 시장에서 어떻게 경쟁 할 것인가?

어떠한 시장을 선택해서 들어 갈 것인가? 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는 전략이다


기업은 하나의 사업전략이 아니라 여러개의 사업전략을 동시에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사업전략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업전략 세가지를 예로 들어본다



Business strategy two - Porter's Position








Cost Leadership (원가우위전략)

원가우위전략은 사업 분야에서 가격 우위 선점에 대한 우선적인 전략을 뜻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은 기업 시설과 장비를 최대한 효율적이게 운영해야한다

다양한 경험에 의한 활발한 원가 단축의 목표를 상시 추구해야한다

모든 부분에서 저렴한 가격을 위해 노력해야하며 간접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힘써야 한다

R&D와 서비스 그리고 광고 등의 분야에는 크게 지출을 하지 않는다


Differentiation (차별화 전략)

차별화 전략은 말그대로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차별화된 점을 두는 것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의 차별화

기술의 차별화

기능의 차별화

사업구조의 차별화



Both Cost Leadership and Differentiation

블루오션일 경우 기업은 원가우위전략과 차별화전략 둘 다 목표로 삼을 수 있다

블루오션인만큼 기업은 first-mover advantage (선점자의 우위) 를 가지게 된다


레드오션일 경우 이미 경쟁시장은 성장할대로 성장 한 후, 그래서 기업은 대부분 원가우위전략과 차별화전략을 동시에 펼칠 수 없다

만약 시장이 굉장히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이라면 시장에 새로 들어가기가 굉장히 힘들다



Focus (집중화 전략)

특정 분야, 특정 산업, 특정 고객과 특정 상품에 집중해 제공하는 것으로 집중화 전략에도 수없이 많은 전략으로 세분화 된다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Example

폴크스바겐 (폭스바겐) 의 전략

폴크스바겐은 자기 자신의 이름 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많은 자동차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다


폴크스바겐의 기업전략은 related diversification (관련 다각화 전략) 으로 '차량' 관련 분야에 엄청난 다각화 전략을 펼치는 것

무슨 뜻이냐 하면 폴크스바겐은 자가차량 분야 (그냥 자가용), 공공운송수단 분야 (예를 들어 버스), 그리고 상업 운송수단 분야 (승합차나 트럭) 에서 활동하고 있으니 연관된 분야의 다각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



폴크스바겐은 각 분야에 서로 다른 브랜드들을 두고 있다

폴크스바겐이 앞서 언급했던 것 처럼 자가차량분야, 공공운송수단, 상업운송수단 분야에 서로 포진해있음과 함께 자가차량분야에서 역시 cost leadership 부분, differentiation 부분, focus 부분에 각 브랜드를 하나씩 두어 정말 모든 분야에 포진해있다

자가차량 분야에서 cost leadership 부분은 SEAT 사가, differentiation 부분은 폴크스바겐과 아우디, 그리고 focus 부분에는 벤틀리를 이용해 다각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는 상업운송수단분야 역시 해당이되며 공공운송수단 역시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