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관리회계

가치사슬과 원가관리 (Value chain and costing system)



Value chain (가치사슬)

"  the linked set of value-creating activities all the way from basic raw material sources

through to the ultimate end-use product delivered into the final consumers' hands "

Shank & Govindarajan (1992, p. 179)

가치사슬이란 미국의 마이클 포터가 모델로 정립한 이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있는 이론이다

부가가치 창출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관련된 활동과 기능의 연계를 의미한다



종이를 만드는 회사의 가치사슬 (value chain) 을 참고하자





우리 종이 회사는 Company C 로 가정한다

이때 Company B 는 우리의 supplier, Company D 는 우리의 경쟁자가 된다

Company A 역시 우리와 같은 프로세스를 하고 있으니 경쟁자가 된다


Company E 는 그냥 Company E 이며 Company F와 Company G 가 우리의 고객으로 인식 할 수 있다







대표적인 단체 가치사슬



가치사슬과 함께 설명되어야 할 부분이 원가관리 (cost management) 부분이다

원가관리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이 부분을 공부 할 때가 참 까다로웠다



원가관리는 크게 세가지로, 깊게 들어가면 네가지로 세분화 할 수 있다

Absorption costing (functional-based costing ; 전부원가계산) 과

Variable costing (변동원가계산)

그리고 Activity-based costing (활동기준원가계산)

마지막으로 Throughput accounting (현금창출회계 or 현금창출계산) 이 있다


이 네가지 원가관리 방법에 대해서 다른 포스팅으로 소개하도록 한다